CONTENTS
- 1.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의뢰인 사연
- 2.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대응 방법
- 3.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채무부존재소송 제기
- - 부산민사소송변호사 “직원에게 혐의 적용돼 송치됐음”
- - 부산민사소송변호사 “카드 회사는 주의의무를 태만히 했음”
- 4.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판결
1.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의뢰인 사연
부산민사소송변호사를 찾아주신 의뢰인은 억울하게 3천만원을 갚아야 할 위기라고 하셨는데요,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의뢰인 사건에 조력하기 위해 사연을 들어봤습니다.
의뢰인은 한 공장을 운영하고 있었다는데요, 사무직원을 고용하게 됐다고 합니다.
해당 직원은 과거에 사업체를 운영하다가 파산하며 신용불량자가 됐다며 급여를 현금으로 지급해달라고 요청했다는데요, 의뢰인은 그 요청을 들어주며 성실히 일하기만 해달라고 했습니다.
이후 직원은 자신의 업무에 최선을 다했고 의뢰인은 직원을 믿고 법인카드와 의뢰인 명의 휴대폰을 지급해주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그 직원이 의뢰인 몰래 횡령을 한 사실이 밝혀져 의뢰인은 충격에 빠졌고, 곧 횡령죄로 직원을 고소했습니다.
그 직원은 법인카드로 횡령을 했을 뿐 아니라 의뢰인 명의를 이용해 카드론 대출을 하기까지 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렇게 의뢰인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의뢰인의 자격을 이용해 직원이 카드론 대출을 받았다고 했는데요, 카드 회사는 본인 여부도 확인하지 않고 그 직원에게 카드를 교부해 의뢰인은 3천만 원의 채무를 지게 됐다고 합니다.
이에 어쩔 줄 모르던 의뢰인은 지하철역 광고를 보고 부산민사소송변호사를 찾아와주셨다고 하셨습니다.
2.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대응 방법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의뢰인의 사연을 들은 뒤 대응 방법을 고민하다 ‘🔗채무부존재소송’을 제기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채무부존재소송은 채무자가 원고, 채권자가 피고가 돼 원고에게 채무가 부존재한다는 판결을 구하는 소송을 말합니다.
의뢰인은 직원의 횡령, 사전자기록 위작, 위작사전자기록 행사, 컴퓨터 등 이용사기죄로 채무를 지게 됐는데요, 채무부존재소송을 통해 채무가 없음을 확실히 인정받고자 했습니다.
3.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채무부존재소송 제기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의뢰인의 권한을 위임 받고 채무부존재소송을 제기하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부산민사소송변호사 “직원에게 혐의 적용돼 송치됐음”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의뢰인의 명의를 도용한 직원에게 혐의가 인정돼 검찰로 사건이 송치됐음을 강조했습니다.
카드회사는 의뢰인이 자신의 개인정보 및 비밀번호, 접근매체 권한을 직원에게 줬기에 그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과실로 이런 일이 발생했다고 주장했지만 경찰조사 단계에서 직원이 의뢰인의 명의를 도용했다는 사실을 시인했기에 검찰로 송치된 것입니다.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이에 따라 의뢰인에게는 채무가 부존재함을 알 수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부산민사소송변호사 “카드 회사는 주의의무를 태만히 했음”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카드 회사가 금융업무에 대한 주의의무를 태만히했음을 강조했습니다.
카드회사는 카드론대출을 승인해 줌에 있어 필수적인 본인 확인 의무를 게을리했기에 그 직원이 의뢰인의 명의를 도용해 대출금을 수령하고 사용했습니다.
부산민사소송변호사는 이에 따라 직원이 받은 대출금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카드회사에 책임이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4. 부산민사소송변호사 | 판결

부산민사소송변호사의 말을 들은 법원은 의뢰인에게 채무가 부존재함을 확인한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의뢰인은 카드 회사의 주장에 따라 자신의 정보 등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과실로 이러한 일이 생겼기에 채무를 부담하게 될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부산민사소송변호사가 이 모든 책임은 카드 회사에 있음을 입증해냈기에 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사건 의뢰인과 같이 민사소송 등에 조력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지 🔗부산변호사를 찾아 상담을 요청해주시길 바랍니다.
